만성질환 없이 70세까지? 식물식 위주로 가공식 피하기!

건강한 식단, 만성질환 없는 70세 생활 가능성 높여

건강한 식단이 만성질환 없이 70세 이후까지 건강하게 생활할 가능성을 크게 높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 따르면, 과일과 채소가 풍부하고 가공식품과 적색육 섭취가 매우 적은 식단이 노년기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중장년층 10만 5천여 명의 식단을 분석했으며, 이 가운데 ‘건강한 노화(healthy aging)’를 이룬 사람은 10% 미만이었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건강한 노화란, 기억력 유지, 우울증이나 주요 만성질환이 없고, 일상적인 신체 활동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식단의 질이 노화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로 확인된 셈입니다.

출처 : Optimal dietary patterns for healthy aging/ Nature Medicine. Mar.2025

과일·채소 중심 8가지 식단의 건강 효과 분석

이번 연구는 지중해 식단과 철저히 식물성 기반 식단 등 8가지 식단을 조사했다. 이들 식단은 과일, 채소, 통곡물, 불포화 지방, 견과류, 그리고 콩류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었으며, 가공육, 설탕, 트랜스 지방은 낮았다.

기존 연구들은 과일과 채소가 풍부한 식단이 심장병과 암 위험을 줄이고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춘다고 밝혀왔으나, 이번 연구는 이러한 식단이 노화 과정에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췄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식단은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며, 질병 발병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30년간 10만 명 이상 참가자 식습관 추적

연구는 1986년부터 2016년까지 39세에서 69세 사이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암, 당뇨병, 뇌졸중 등 11가지 만성질환 여부를 검토했다. 연구 결과, ‘대안적 건강식 섭취 지수(Alternative Healthy Eating Index)’가 건강한 노화 가능성과 가장 강하게 연관되었다.

이 지수는 적은 어류 섭취, 하루 다섯 번 이상 채소 섭취, 과일은 네 번 이상 섭취하며 적색육과 설탕 음료를 배제하는 식단을 권장한다. 높은 점수를 받은 참가자는 낮은 점수를 받은 참가자에 비해 건강하게 노화할 확률이 86% 더 높았다.

미국 식단 가이드라인과의 차이와 기타 요인

미국의 식이 가이드라인은 대안적 건강식 섭취 지수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조사된 모든 식단이 과일, 채소, 통곡물을 장려하고 적색육과 가공육 섭취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지중해 식단은 건강한 지방을 강조하며, 고혈압 예방 식단(DASH)은 저염 식품을 우선으로 한다.

이 연구는 중년기에 모든 육류 섭취를 중단하지 않아도 질병 위험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어린 시절의 불균형한 식습관이 중년 이후의 건강식단으로 교정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으로는 신체적 활동, 스트레스, 그리고 유전적 요인이 포함된다.

출처 : NBCNEWS.com